2025년 안동, 녹색도시로 다시 태어나다

2025.11.19 14:51:12

도시 곳곳에 확산된 녹색 변화
도심 정원ㆍ강변 휴식공간 등 기반 구축으로 지속가능 도시 도약



안동시(시장 권기창)는 2025년 한 해 동안 도심 속 녹색 휴식공간을 확대하고 생활권 산림휴양 서비스를 강화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녹색 인프라 구축에 힘썼다고 밝혔다.


영호대교ㆍ서부초 일대 녹지 조성… 안전ㆍ쾌적성 향상


안동시는 6월 영호대교 북단 교통섬에 안동무궁화, 목수국, 무늬억새 등으로 정원을 조성해 기존 노후 꽃탑을 대체하고 운전자 시야 확보까지 고려한 정비를 완료했다.


또한 7월 서부초 통학로에 ‘자녀안심그린숲’을 조성해 교목ㆍ관목ㆍ초화류 4천여 주를 식재하고 벤치를 설치하는 등 어린이의 안전ㆍ환경ㆍ정서적 안정에 도움이 되는 통학공간을 마련했다.


도심 ‘열대풍 가로화단’으로 여름철 볼거리 제공


기후변화로 길어진 여름을 고려해 칸나ㆍ알로카시아ㆍ콜레우스 등 열대식물을 활용한 가로화단을 시청ㆍ도서관ㆍ웅부공원 등 4개 공공시설과 주요 교통섬 3곳에 조성했다.


5개월 이상 지속된 화단은 간이벤치를 함께 설치해 도심 속 작은 휴식처 역할을 하고 있다.




낙동강변 사계절 휴식공간 운영… 시민 발길 이어져


정하동 먼달공원은 놀이ㆍ정원ㆍ분수광장이 어우러진 복합공간으로 개장 이후 큰 호응을 얻고 있으며, 분수광장과 낙천공원은 여름철 대표 피서지로 자리잡았다.


낙동가람 초화단지(태화동)는 유채ㆍ작약ㆍ코스모스 등 계절 꽃으로 사계절 볼거리를 제공했으며, 핑크뮬리 그라스원은 가을철 사진 명소로 인기를 이어갔다. 


수상동 고수부지에는 ‘낙동강 시민공원(수상지구)’이 조성 중이며 내년 4월 준공을 앞두고 있다.


지역 축제ㆍ행사로 자연ㆍ정원문화 확산


8월 열린 제5회 ‘안동무궁화 축전’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꽃으로 기억하다’를 주제로 진행됐으며, 무궁화의 역사와 상징성을 재조명했다.


10월에는 350명이 참여한 ‘하회구곡 라디엔티어링’이 개최돼 병산서원~하회마을 코스를 따라 자연ㆍ문화ㆍ휴식을 동시에 체험할 수 있는 새로운 걷기 행사로 호평받았다.


녹색자금 지원사업 장려상 수상… 3년 연속 공모 선정


안동시는 한국산림복지진흥원 ‘2024년 녹색자금 지원사업’ 평가에서 장려상을 수상했다.


지난해 3억 원으로 조성된 애명복지촌 나눔숲은 산책로ㆍ녹색쉼터 조성을 통해 치유ㆍ휴식공간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올해는 길주요양병원과 나천복지회 ‘아름다운마을’이 2026년도 공모에 선정되며 경북 최초 3년 연속 선정이라는 성과를 달성했다.




산림청 ‘정원도시 조성사업’으로 100억 원 확보


안동시는 11월 산림청 국비 지원사업인 ‘정원도시 조성사업’ 대상지로 선정되며 총 100억 원의 국비를 확보했다. 


2026~2030년까지 생활권 정원ㆍ가로정원ㆍ수변정원 조성, 시민정원사 양성, 정원문화 행사 등을 추진하며 도시의 녹색경관과 정주환경 개선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안동시 관계자는 “정원과 녹지공간은 도시 미관을 넘어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핵심 요소”라며 “앞으로도 시민 누구나 일상 속에서 자연을 누릴 수 있도록 녹색 휴식공간 확충과 정원도시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최선학 기자 kbnews7005@hanmail.net

Copyright @2015 경북저널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경북저널 | 경북 울진군 후포면 삼율2길 15-14 | 등록번호: 경북 아 00394 발행인 : 최선학 | 편집인 : 김정아 | 청소년보호책임자: 최선학 | 청탁방지담당관 : 최선학 대표전화 : 010-4155-7005 | FAX : 054-787-7797 등록일:2015년11월09일 Copyright ©2015 경북저널. All rights reserved.